담도암 초기증상 없지만 진행되면 황달 흔히 나타나

담도는 간에서부터 십이지장까지 연결되는 관으로 담즙을 운반하는 역할을 한다. 이곳에 생기는 암을 담도암 또는 담관암이라고 하는데 5년 생존율이 약 28%로 예후가 좋지 않은 암종 중 하나다. 원인은 확실히 밝혀진 것은 없으나 유전적 요인 외에도 담관결석증, 간흡충증, B형 및 C형 간염, 담관낭종, 췌담관합류기형, 궤양성 대장염, 원발성경화담관염 등이 위험인자로 알려져 있다. 또 60~70대의 연령층에서 많이 발생하는데 70대가 35.5%로 가장 많고, 이어서 80대 이상, 60대 순이다.

가톨릭대학교대전성모병원간담췌외과이상권교수
가톨릭대학교대전성모병원간담췌외과이상권교수
초기증상 없어 조기발견 어려워 … 황달 등 증상발현시 의심해봐야
담도암은 대부분 선암으로 간외담관 또는 간내담관에 발생할 수 있다. 간외담관암은 근위부 또는 원위부에 발생할 수 있으며 간문부(담도가 간과 만나는 부위)에 발생한 담도암을 클라츠킨(Klatskin)종양이라고 한다. 발생 빈도로 보면 간문부 담도암을 포함한 근위부 담도암이 약 60%를 차지한다.

담도암은 초기에 거의 증상이 없는 것이 특징이다. 따라서 조기에 발견되는 경우가 매우 드물다. 암이 더 진행되면서 가장 많이 나타나는 증상은 황달이다. 황달은 종양이 담도에서 십이지장으로 이어지는 부분을 폐쇄하는 바람에 담즙의 흐름이 막히고, 그에 따라 혈액 내에 빌리루빈(bilirubin)이라는 물질이 많아져서 발생한다.

빌리루빈은 체내 대사 과정에서 수명이 다한 적혈구가 파괴될 때 헤모글로빈이 분해되면서 생기는 것으로, 담즙 색소의 주성분이다. 황달이 오면 피부와 눈의 흰자위가 노랗게 변하고, 갈색 소변과 회백색 변을 누며, 피부에 가려움증이 생긴다. 또 가려움증, 발열, 오한, 체중감소, 식욕부진 등이 나타날 수 있으며 복통도 나타날 수 있지만 무통성 진행성 황달이 더 자주 발생한다. 담도암이 하부에 위치해 있는 경우 팽창된 담낭이 만져질 때도 있다. 비특이적 증상으로 체중 감소, 피곤함, 식욕부진, 메스꺼움, 구토, 그리고 우상복부 또는 명치에 범위가 뚜렷하지 않은 통증이 생길 수 있다. 간혹 십이지장이나 대장의 폐색이 동반되기도 한다.

우선 치료는 수술 … 암종 발생 위치에 따라 주변 장기도 근치적 절제 가능
담도암의 진단을 위해서는 초음파검사, 복부단층촬영술(CT), 자기공명영상(MRI), 내시경적 역행성 담췌관조영술(ERCP), 내시경초음파검사(EUS), 양전자방출단층촬영술(PET-CT) 등이 쓰인다.

내시경적 역행성 담췌관조영술(ERCP)은 특수 내시경을 식도와 위를 거쳐 십이지장까지 삽입해 종양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이 시술을 통해 조직검사가 가능하며 황달 완화를 위한 담도내 스텐트 삽입도 가능하다. ERCP가 실패하거나 담도폐쇄 위치가 높을 경우 경피경간 담도조영술(PTC)을 시행할 수 있다. PTC는 피부에 국소마취를 해서 방사선 투시하에 특수 바늘로 찔러서 확장된 담도에 관을 삽입하는 시술이다. 담도 영상을 얻을 수 있고, 담도 감압, 담즙 채취를 통한 담즙세포검사(암세포 존재 유무)를 할 수 있다.

담도암의 우선적인 치료는 수술이다. 수술 방법은 암종 발생 위치에 따라 다른데 중하부에 발생한 담도암에서는 대부분 췌십이지장절제술을 시행한다. 이 수술은 담낭과 담도, 십이지장, 췌장 일부를 제거하는 근치적 수술이다. 하부 침윤이 없는 담도 중간에 발생한 암종에 대해서는 근치적 담관절제술을 시행하기도 한다. 수술 도중 조직검사를 해 암이 남아 있는 경우 수술을 더 확대할 수도 있다.

담도 상부에 발생한 암은 담도만 절제하는 경우도 있지만 간내로의 침윤 여부에 따라 우측 또는 좌측 간을 같이 절제해야 하는 경우가 많다. 암이 침범한 범위에 따라 드물게는 췌십이지장절제와 간절제를 동시에 해야 하는 경우도 있다.

암종 침윤의 정도에 따라 담도암의 약 40~50%에서 절제가 가능하고 최근 보다 적극적인 외과적 접근을 통해 절제율이 더 향상되고 있는 실정이다. 황달이 심할 경우 안전한 수술을 위해서 담즙배액을 통해 빌리루빈(황달) 수치를 적절한 수준까지 낮추고 수술하는 것이 더 안전하다. 따라서 환자마다 개별적인 상황에 맞춰 치료를 진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수술을 했지만 근치적 수술이 안되어 잔존암이 남아 있을 때, 또는 암종이 진행이 많이 되어 수술이 불가능할 경우 비수술적 치료를 하게 된다. 비수술적 치료 중에는 항암치료, 방사선치료가 있으며 폐쇄된 담도는 스텐트를 이용해 담즙 배출을 꾀할 수 있다. 스텐트는 내시경으로 삽입하거나 경피적으로 삽입할 수 있다.

치료 후 일상생활은 규칙적인 생활을 하고 평소 해온 일도 가능한 한 그대로 유지하되, 퇴원 직후 적어도 2주일 정도는 집에서 푹 쉬도록 한다. 숙면을 취하며 과로를 피하며 소화에 부담이 안되는 영양가 있는 음식을 고르게 섭취하고 천천히 씹는다. 수술 후 3~4주째부터는 서서히 활동을 시작해 하루 30분에서 한 시간 사이로 산책을 포함한 가벼운 운동을 권장한다.

저작권자 © 헬스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