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3,144명 중 38.1%가 35세 이상 산모였고, 5.1%가 40세 이상이었으며 2016년에는 만35세 이상이 34.8%였으나 2019년에는 40%, 2020년에는 39.1%로 해가 지날수록 만35세 이상 고령임신부의 분만이 많아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 것으로 알려졌다
세계보건기구(WHO)에서는 분만 예정일 기준으로 만 35세 이상을 '고령 임신'으로 지칭하는데, 고령 임신부의 경우에는 의학적으로 배란되는 난자의 질이 좋지 못하고, 정자와의 수정이 원활하지 않거나 기형적인 수정란을 생성해 임신율이 떨어지고 초기 유산율, 조산율이 높아진다

고령 산모의 경우 여러 가지 기저질환의 가능성이 높고, 특히, 당뇨병, 고혈압 등이 증가할 수 있다. 이에 병원측은 모든 산모와 아기가 안전하고 건강하게 출산할 수 있도록 SAFE BIRTH 캠페인을 통해 모든 진료과와의 협진으로 임신 중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하고, 감염으로부터 환자를 보호하기 위해 모든 입원환자에 대한 코로나 검사를 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한 응급상황에 대비하기 위해 분만실과 회복실, 수술실을 일직선상에 위치하도록 하여 동선을 짧게 하고 산부인과, 마취통증의학과 의료진이 365일 24시간 대기하여 언제 발생할지 모를 초 응급분만, 제왕절개수술, 무통시술 진행에 신속하게 대처하고 있다는 병원측의 설명이다.
임혜정 기자
webmaster@healthin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