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년에 생기는 각종 행동장애가 치매 전조 증상일 가능성 높아
이번 연구를 위해 기억력이나 생활 속 행동에 문제가 있는 60세 이상의 실험 대상을 124명 모집했다. 참가자의 평균 연령은 69.21세로, 71.77%(89명)는 남성이었고, 28.23%(35명)는 여성이었다. 이 중에서 41.13%(51명)는 MBI 진단을 받았다. MBI와 비 MBI 그룹은 결혼 상태, 인지 상태, MCI 하위 유형에서 큰 차이를 보였다.
델리 AIMS 노인의학과의 프라순 채터지(Prasun Chatterjee) 부교수는 ANI에 "MBI가 치매의 전조 증상임을 확인하는 연구는 아시아에서 최초로 진행된 것이다"라고 말했다.
연구는 총 세 단계로 나뉜다. 첫 번째 단계는 연구진이 신경정신학적 평가를 하지만 치매로 진단하지 않는 경우로, 건망증이 거의 생기지 않는 주관적 인지장애(SCI)라고 불린다. 그 다음 단계는 건망증 때문에 생활 속에서 판단능력에 대한 문제에 직면하지만, 일상생활을 무너뜨리지 않는 순도인지장애(MCI)가 뒤따른다. 세 번째는 본격적으로 치매가 진행되는 단계다.
프라순 채터지는 "우리의 연구는 이런 경도행동장애로 치매의 전조가 시작되고 있는 노인들을 여러분이 찾을 수 있는지, 그리고 문제가 더 심각해지기 전에 빠른 진단 및 치료를 받을 수 있지만 이를 간과하지 않을지에 대한 여부이다“라고 밝혔다.
관련된 영역의 비율은 감소된 동기부여 60.78%(31명), 정서장애 54.90%(28명) 충동장애 68.63%(35명), 사회적 부적절 21.57%(11%) 비정상적 인식 3.93%(2명) 등이다.
선임 레지던트인 아비히스 라자람 라오(Abhijith Rajaram Rao) 박사는 논문에서 "이번 연구는 메모리 전용 클리닉에서 진행됐다. 기억력에 대한 불만을 가지고 우리에게 온 환자들 중 41%가 가벼운 행동장애(MBI)를 가지고 있었다. 충동조절장애(선동, 공격적인 행동, 특유의 논쟁성, 자극성, 무모성 포함)가 68%로 나타났고, MBI 환자의 동기부여 감소(60%)가 뒤를 이었다. 다중 만성 질환(여러 만성적 질병을 가진 경우) 존재가 MBI와 연관돼 있다는 점도 흥미로웠다."
라오 박사는 또 "MBI와 관련된 위험 요인을 파악한 결과, 향후 연구는 MBI와 치매에 대한 향후 위험 요인을 수정하는 데 초점을 맞출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ISTAART(국제알츠하이머연구치료학회-알츠하이머협회) MBI 기준을 활용해 결정 MBI의 유병률은 높았고, MCI를 가진 피험자들, 특히 건망형 MCI 부분군에서 훨씬 더 널리 퍼졌다.
치매가 미래 유행병이 될 것이라는 것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따라서 치매 전 상태와 치매의 1차적, 2차적 예방을 가능하게 하는 위험 요인의 식별이 절실히 필요하다.
하수지 기자
suji@healthin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