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조사 결과에 따르면, 주 2회 이상(1회당 30분 이상) 운동을 하는 장애인은 23.8%로 2017년 대비 3.7%포인트(p) 증가했다. 이는 10년 전인 2009년(7.0%)에 비해 3배 이상 증가한 수치이다.
연도별 장애인생활체육 실행 유형
거리가 가까운 ‘근처 야외 등산로나 공원’, ‘집 안’을 주로 이용
장애인이 주로 이용하는 체육시설(장소)은 ‘근처 야외 등산로나 공원’(61.5%), ‘집 안’(31.8%), ‘장애인 체육시설(복지관 시설) 및 장애인 전용체육시설’(14.9%), ‘공공체육시설’(9.6%) 순으로 조사됐다.[복수응답]
장애인이 주로 이용하는 체육시설(장소)
장애인이 주변 체육시설(장소)을 이용하는 가장 큰 이유는 ‘거리상 가까워서’(60.7%)였고, 주변 체육시설(장소)을 이용하지 않는 이유는 ‘시간적 여유가 없어서’(23.4%), ‘거리상 멀어서’(2위, 17.2%), ‘정보 부족’(3위, 13.9%) 등의 순서로 나타났다.
장애인이 주변 체육시설(장소)을 이용하는 가장 큰 이유
주변 체육시설(장소)을 이용하지 않는 이유
운동 경험자 중 27.1%가 가장 중요한 보완점으로 비용 지원 선택
운동 시 가장 중요한 보완점으로는 비용 지원(27.1%)을 선택하였으며, 체육시설의 장애인 편의시설(14.5%), 장애인용 운동용품 및 장비(13.6%), 보조 인력 지원(7.3%) 등을 그 다음 보완점으로 꼽았다. 특히, ‘비용 지원’의 경우 ’17년(24.8%) 대비 2.3%포인트(p)가 증가해 장애인이 체육활동에 참여할 때의 가장 큰 장애물은 비용 부담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운동 시 가장 중요한 보완점
장애인 생활체육 정보 습득 경험 33.6%에 불과, 습득경로 텔레비전/라디오 67.6%
장애인 생활체육 관련 정보를 습득해본 경험이 있는지에 대해서는 33.6%만이 습득 경험이 있다고 답해 전년 대비 3%포인트(p) 증가한 수치를 보였다.
관련 정보 습득 경로는 ‘텔레비전(TV)/라디오’(67.6%), ‘장애인 복지관’(8.3%), ‘주변 지인(장애인 포함)’(7.6%) 등의 순으로 나타나, 텔레비전(TV)/라디오에 편중된 양상을 보였다.
장애인 생활체육 정보 습득 경험
관련 정보 습득 경로
생활체육 전문 지도를 받은 경험 7.3%로 낮아
생활체육 전문지도자로부터 ‘지도를 받은 경험이 있다’는 응답은 7.3%[전년(6.7%) 대비 0.6%포인트(p) 증가]로, 생활체육 전문지도자로부터 지도를 받은 적이 있는 장애인의 수가 매우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문체부 정책 담당자는 “2018 평창 동계패럴림픽의 성공적 개최를 계기로 장애인 체육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며 장애인 생활체육참여율이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라며 이번 조사 결과와 2018년 8월에 발표한 ‘장애인 생활체육 활성화 방안’을 토대로 장애인이 근거리에서 이용할 수 있는 ‘반다비 체육센터’ 확충, 다양한 매체를 활용한 장애인 생활체육 정책 홍보, 장애인 생활체육 지도자 육성과 배치 확대 등을 추진해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2018년 장애인 생활체육 실태조사 결과보고서는 문체부 누리집과 대한장애인체육회 누리집에서 내려 받을 수 있다.
류수진 기자
sujin@healthin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