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50대 이상 남성 환자가 전체 환자의 92.1% 차지 -

소변 약해지면 「전립선 비대증」 의심
2012~2017년 전체 진료인원 1.3배↑(연평균 증가율 5.9%)
2017년 50대 이상 남성환자 110만 명, 전체 진료인원 92.1% 차지

전립선 비대증(Hyperplasia of prostate) ☞ 남성의 방광하부에 존재하는 성선 기관 중 하나인 전립선의 비대로 인해 생기는 배뇨장애 증상군임.

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김용익)은 건강보험 빅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2017년 기준, ‘전립선 비대증' 질환으로 진료 받은 인원은 119만 5천 명(건강보험 전체 진료인원의 5.1%)으로 나타났다.

연령대별 진료인원은 노인 70대 이상이 49만 7천 명(41.6%)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였고, 60대 37만 1천 명(31.1%), 50대 23만 2천 명(19.4%)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50대 이상이 전체 진료인원의 92.1%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비뇨기과 이석영 교수는 50대 이상 남성 환자가 가장 많은 이유에 대해 “전립선 비대증은 40대 이후에 서서히 발병하기 시작 하는데, 초기에는 그 불편함이 크지 않다가, 나이를 먹으며 전립선이 점점 더 커지는 반면 방광기능은 점점 감퇴하게 되어 배뇨증상이 악화되게 된다. 병원에 가야겠다는 불편감을 느끼는 시기가 대략 50대 후반 이나 60대 정도로 생각 된다”고 설명하였다.

전립선 비대증 질환을 치료 하지 않고 방치 시 문제점에 대해 “전립선은 방광하부(방광목, 상부요도)를 둘러싸고 있는 기관으로 연령증가로 인한 전립선비대가 있을 경우 여러 배뇨증상이 생기게 되어 삶의 질을 저하시키게 되고 제때, 적절한 치료를 안하고 방치할 경우는 신장을 포함한 상부요로에 영향을 주게 된다. 예를 들어 방광폐색 등은 신장기능 저하로 신부전에 이르게 할 수 있고 방광 혹은 신장 내 여러 결석질환을 유발하기도 하며 지속적인 방광 내 잔뇨로 요로감염, 심할 경우 요로패혈증 등으로 생명유지에도 심각한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밝혔다.

연령대별 진료인원 추이를 살펴보면 연평균 증가율은 20대가 12.6%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는 70대 이상이 8.1%, 30대 5.8%, 60대 5.4% 순으로 나타났다.

요양기관종별 진료인원 추이를 살펴보면 연평균 증가율은 의원이 6.6%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종합병원 5.8%, 요양병원 4.7%, 상급종합병원 2.0% 순으로 나타났다.

요양기관종별로 진료비 추이를 비교해보면 연평균 증가율은 의원이 11.0%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요양병원 10.5%, 보건기관 9.8%, 종합병원 8.8% 순으로 나타났다.

진료형태별로 진료비 추이를 비교해보면, 2012년 3,100억 원에서 2017년 4,485억 원으로 1,386억 원이 증가하여, 연평균 7.7%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입원의 진료비는 2012년 229억 원에서 2017년 331억 원으로 연평균 7.7% 증가하였고, 외래의 진료비는 2012년 2,871억 원에서 2017년 4,154억 원으로 연평균 7.7% 증가하였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비뇨기과 이석영 교수는 ‘전립선 비대증(N40)’ 질환의 증상 및 원인, 치료법 및 치료 시 주의사항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하였다.

‘전립선 비대증’ 질환의 증상
전립선은 남성의 방광하부에 존재하는 밤톨크기의 성선기관으로 나이가 먹어감에 따라 점차 크기가 증가하면서 방광하부폐색증상이나 방광자극증상을 유발하게 된다. 물리적으로 비대해지면서 소변세기가 약해지거나 지연뇨, 단속뇨, 배뇨 후 잔뇨감 등이 있게 되거나 빈뇨, 야간뇨, 절박뇨 등의 방광자극 증상을 호소하게 된다.

‘전립선 비대증’ 질환의 원인
노화현상으로 인한 호르몬 변화로 인해 전립선의 크기가 증가하여 발생하며 비대해진 전립선이 배뇨 시 소변의 흐름을 방해하여, 방광 기능을 악화시켜 증상이 발생 한다.

‘전립선 비대증’ 질환의 예방법
배뇨 증상에 대한 자가 체크 및 주기적인 검사와 적절한 치료를 하는 것이 중요하며, 비만 등 대사증후군의 적절한 관리와 지속적인 운동이 도움이 된다. 또한 과도한 음주는 증상을 급격히 악화시킬 수 있어 자제하는 것이 좋으며 증상이 있을 경우 광고에 나오는 검증되지 않은 치료나, 건강식품을 복용하는 것 보다는, 현재 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적절한 검사와 검증된 치료를 꾸준히 받는 것이 중요하다.

‘전립선 비대증’ 질환의 진단․검사
국제 전립선 증상점수표를 통한 증상체크, 요검사 및 요배양검사를 통한 요로감염 유무 확인과 요류검사 및 배뇨 후 잔뇨검사, 직장수지검사나 경직장 초음파, 혈액검사를 통한 신기능검사 및 전립선특이항원(PSA) 검사 등을 통해 전립선 비대증을 확인 할 수 있다.

‘전립선 비대증’ 질환의 치료방법
약물치료 : 전립선의 조임이나 긴장을 완화시키는 교감신경차단제(알파차단제)를 사용하면 소변배출을 용이하게 하여 즉각적 효과를 거두거나 전립선 크기를 줄이는 항남성호르몬제를 투여하게 장기적으로 전립선의 물리적 비대를 억제하는 치료방법이 있다.

수술 : 약물요법을 시행하더라도 반복적 요폐, 방광 결석, 재발성요로감염이나 혈뇨 등이 발생하는 경우, 서서히 진행되는 신기능 저하증이 보일 경우 수술적 교정을 하게 된다.

저작권자 © 헬스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