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5월에는 퍼프리젠스 식중독 증가, 배달음식 주의해야
보관 음식 재섭취시에는 가열했더라도 75도 이상으로 재가열
‘퍼프린젠스 식중독’은 클로스트리듐 퍼프린젠스균에 오염된 음식을 섭취할 때 나타난다. 이 세균이 소장에 들어오면 흔히 설사를 유발하는 독소를 방출한다. 기온이 상승하는 봄(3월~5월)에는 퍼프린젠스에 의한 식중독이 많이 발생한다. 퍼프린젠스 식중독은 음식점, 집단급식소에서도 많이 발생하고 있다.

육류와 튀긴 음식, 용기에 보관된 국에서 잘 검출되고 다른 식중독균과 달리 봄철 발생 빈도가 높은 편이다. 고기를 적절히 조리하지 않거나 오래 실온에 방치하면 균이 증식할 수 있다. 또 음식을 조리한 후 장시간 냉장보관하지 않으면 퍼프린젠스가 증식할 가능성이 높다.
퍼프린젠스 식중독 증상은 음식을 섭취한 후 6~24시간 내에 나타나며 대부분 24시간 내에 회복된다. 복통과 설사, 구토가 많이 나타나며 체온 상승은 드물지만 가벼운 발열이 있을 수 있다. 면역력이 낮은 아이와 고령층의 경우에는 증상이 더 두드러질 수 있다. 일주일 이상 지속되거나 탈수 증상이 있다면 병원을 찾아야 한다.
퍼프린젠스균은 75도 이상으로 가열하면 대부분 파괴된다. 하지만 일부는 높은 열에도 살아남아 음식이 식어가는 과정에서 다시 증식해 식중독을 일으킨다. 주로 국을 끓인 뒤 상온에서 오래 식히거나 육류를 냉장보관하지 않으면 퍼프린젠스균이 발견될 확률이 높다. 또한 음식을 큰 용기에 대량으로 상온 보관하는 것 역시 위험하다.

홍진헌 과장은 “퍼프린젠스 식중독은 특별한 치료 없이도 증상이 사라지지만 심한 탈수가 있을 경우에는 수분 보충이 필요하다. 복통이나 발열이 심하면 진통제나 해열제를 사용할 수 있다”며 "일부 균주는 음식을 완전히 익혀도 파괴되지 않기 때문에 적절히 익혀먹기와 보관에 특히 신경 써야 하고 조리 전에 올바른 손씻기를 하는 습관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임혜정 기자
press@healthin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