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거리 달리기는 무릎과 허리 등 주요 부위에 큰 부담을 주어 다양한 부상이 발생할 수 있다. 가장 흔히 발생하는 부상은 무릎 통증이다. 러닝 중 무릎은 반복적인 충격을 받게 되어 연골연화증, 런너스 니, 관절염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부상은 초기에는 가벼운 뻐근함으로 시작되지만, 무리하게 운동을 계속할 경우 통증이 악화되고 보행에 불편함을 겪을 수 있다.
또한, 잘못된 달리기 자세나 약한 코어 근육으로 인해 허리 통증을 유발할 수 있다. 단단한 지면에서 장시간 달리면 허리에 과도한 스트레스가 가해져 척추와 관절에 부담을 주게 된다. 이로 인해 허리에 지속적인 부담이 가 앉았다 일어설 때와 같이 자세를 바꿀 때 통증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증상이 계속되면 전방전위증, 척추불안정증 등으로 이어질 수 있기에 초기 단계에서 적절한 치료가 필요하다.

운동 중 통증이나 부상이 발생했을 경우 반드시 의료진의 진료를 받아 정확한 진단을 받는 것이 중요하다. 경미한 부상은 비수술적 치료를 통해 증상을 개선할 수 있으며, 무릎 부상에는 연골 및 관절 조직의 재생을 돕는 PRP를 활용한 강화 주사, 허리 통증에는 녹는 실을 활용한 인대 강화 주사와 같은 보존적 치료로 충분히 증상을 완화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약물 치료나 도수 치료 등을 통해 빠르게 회복할 수 있다.
러닝과 마라톤은 건강을 증진시키고 스트레스를 해소하는 큰 도움이 되지만, 잘못된 자세로 장시간 운동을 하거나 준비 운동 없이 과도하게 운동하면 부상 위험이 커진다. 젊은 층에서도 부상이 많이 발생하는 만큼 운동 전 충분한 준비 운동과 스트레칭은 필수적이며, 부상이 발생하면 조속히 의료진과 상담하는 것이 중요하다.
(글 : 고도일 고도일병원 병원장)
김국주 기자
press@healthin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