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통 정상적인 자율신경의 상태는 교감신경이 약 30% 항진된 것인데 스트레스 강도가 높아지면 교감신경이 과항진되어 부교감신경의 기능이 떨어지게 된다. 이를 자율신경실조라고 한다. 두통과 어지럼증은 물론이고 혀통증, 상열감, 안구건조증 등 삶의 질을 떨어뜨리는 크고 작은 증상을 유발하게 된다.
이러한 자율신경실조증은 우리 몸의 장기인 심장과 연관이 깊다. 심장은 오장육부에 피를 보내며, 자율신경을 조절하고 감정 활동을 주관한다. 장기간 누적된 스트레스나 과로로 인한 피로는 우리 몸 안에서 열의 성질로 변해 심장을 달아오르게 하는데, 이로 인해 심장이 제 기능을 하지 못하면서 여러 불편증상을 유발하는 것. 따라서 스트레스로 인해 뜨겁게 달아오른 심장에 냉각수를 붓듯 과열된 심장을 식혀주는 치료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상태를 면밀히 체크한 뒤 맞춤 치료 계획을 세우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스트레스검사(HRV 검사)는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의 균형이 어떻게, 얼마나 깨어져 있는지 정확하게 체크하는 데 도움이 된다. 검사 결과를 바탕으로 환자의 상태에 맞는 맞춤 치료 및 처방을 진행해야 한다.
무엇보다 자율신경실조증의 증상은 매우 다양하고 다른 질환과 혼동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정확한 진단이 필요하다. 자율신경병원의 맞춤 치료를 통해 감정 조율 기능을 회복하고 심신이 안정되면 신체 컨디션 및 스트레스에 대한 저항력도 점점 좋아지므로 전문가와 함께 적극적으로 대처할 것을 권장한다.
(글 : 임형택 자하연한의원 원장)
김국주 기자
press@healthin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