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들은 사회가 고령화되면서 노년층에서 망막박리 환자가 증가하고 있으며 젊은 층에서의 망막박리 환자 증가는 장시간 스마트폰과 태블릿PC 사용에 따른 고도 근시의 증가와 관련 있다고 보고 있다.
망막은 눈 안쪽에 있는 카메라의 필름과 같은 부분이며, 망막이 망가지면 시력과 시야에 문제가 생긴다. 망막박리는 치료하지 않고 방치하면 실명에까지 이를 수 있어 신속한 대응이 필요한 응급질환이다.
망막박리는 원인에 따라서 열공성, 견인성, 삼출성 세 가지로 분류한다. 망막박리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열공성망막박리는 망막전층에 열공, 즉 구멍이 생겨 액화된 유리체가 망막신경과 망막색소상피 사이로 들어가 망막이 떨어지는 것을 말한다.
견인성 망막박리는 당뇨망막병증이나 포도막염 등 망막에 문제가 있는 환자에게서 나타난다. 망막에 생긴 단단한 섬유 조직이 망막을 당겨서 발생한다. 삼출성 망막박리는 망막의 순환 기능이 떨어져 구멍 없이도 망막 사이에 액체가 쌓여 층이 떨어지는 것이다.
눈 앞에 점이나 날파리가 날아다니는 듯한 ‘비문증’, 빛이 번쩍거리는 것 같은 ‘광시증’ 등은 망막열공이나 박리를 의심할 수 있는 증상이므로 이러한 증상이 지속된다면 신속하게 안과를 방문하여 정밀검사를 받는 게 좋다.
특히, 광시증은 망막열공이 발생한 경우 더욱 심해지므로 광시증이 악화되면 망막열공의 발생을 의심하여야 한다. 광시증은 주로 망막열공 또는 망막박리가 발생한 위치와 관계없이 주로 바깥쪽 시야에 나타난다. 망막박리가 진행되면 검은 커튼이 드리운 듯하게 서서히 중앙쪽으로 진행하며, 망막박리의 위치와 반대방향의 시야장애를 호소하며, 중심시력 저하 등의 증상을 호소한다.
열공 망막박리 환자 중 매우 초기 단계이거나, 광응고 레이저 치료로 방책을 만들어 구멍 주위로 더 이상 진행되지 않게 할 수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반드시 수술이 필요하다고 알려져 있다. 수술하지 않으면 실명하게 될 확률이 높기 때문이다. 견인성 망막박리는 유리체절제술로 유리체와 섬유 조직을 제거헤 망막을 유착시키는 치료를 한다. 삼출성 망막박리의 경우에는 약물 치료와 수술적 치료 모두 고려할 수 있다.
망막박리 수술로 망막의 떨어진 층을 붙인 후 시력이 돌아오는 정도는 망막이 떨어진 정도와 시간 등에 따라 차이가 크다. 일반적으로 오래된 만성적 망막박리는 수술로 망막을 다시 유착시키더라도 기능이 회복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고 알려졌다. 망막박리된 기간이 길수록 수술 후 재유착 성공률이 떨어지고 시력 회복도 제한적이다.
이처럼 망막박리를 조기에 발견하지 못하면 완치가 어렵고, 시력 손실을 일으키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정기적인 안과 검진을 받으면서 꾸준히 관찰하고 관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글 : 첫눈애안과의원 윤삼영 대표원장)
하수지 기자
press@healthin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