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체의 기둥 역할을 하는 허리에 통증이 발생하면 전신 활동이 힘들어진다. 그만큼 허리는 우리 몸의 중심과도 같지만 장시간 오래 앉아서 일을 해 자세가 흐트러지고 노화로 인한 퇴행으로 인해 ‘허리디스크(추간판탈출증)’는 많은 현대인들을 괴롭힌다. 허리디스크는 척추 뼈와 뼈 사이에 있는 추간판인 디스크가 밀려나와 신경을 누르면서 발생하는 질환이다. 주요 원인은 무거운 물건을 들어 올려 강한 압력으로 디스크가 파열되는 것, 작은 힘이 반복적으로 가해져 누적이 되는 경우, 잘못된 자세로 오래 앉아 있거나 서 있는 것 등으로 다양하다.또한 나이가 들면서 디스크의 돌출 가능성도 높아진다. 노화가 진행되면서 디스크 내부의 수
무의 씨앗이자 한약재인 ‘내복자(萊菔子, Raphanus sativus Linne)'가 퇴행성 허리디스크(요추추간판탈출증) 치료에 효과적이라는 연구 결과 발표됐다.자생한방병원 척추관절연구소(소장 하인혁)는 김현성·여창환 연구원의 내복자 수핵세포 보호에 관한 연구 논문이 SCI(E)급 국제학술지 ‘생물학(Biology) (IF=3.6)’에 게재됐다고 30일 밝혔다. 허리에 있는 디스크는 섬유륜과 수핵으로 구성되어있는데, 수핵의 80% 이상이 수분 형태로 이뤄져, 척추뼈끼리의 충돌을 막는 완충작용을 한다. 하지만 교통사고와 같은 외부 충격, 잘못된 자세, 노화 등으로 손상 시 내부 수핵이 흘러나와 염증과 통증을 야기한다. 특히 퇴행성 디스크의 경우엔 노
자생한방병원 척추관절연구소는 서울대학교 약학대학 이상국 교수 연구팀과 공동 연구를 통해 신바로2의 허리디스크 치료 기전을 규명하고 운동능력 개선 효과를 입증했다고 3일 밝혔다. 해당 논문은 SCI(E)급 국제학술지 ‘신경학최신연구(Frontiers in Neurology, IF=4.086)’ 3월호에 게재됐다.연구팀은 허리디스크 상태를 유도하기 위해 쥐 꼬리의 디스크에서 분리한 자가수핵을 쥐의 요추 5번 신경근과 가까운 부위에 이식했다. 이어 쥐 그룹을 ▲정상 집단 ▲허리디스크 유도 집단 ▲신바로2 근육투여 집단(2, 10, 20mg/kg) ▲신바로2 구강투여 집단(20, 200mg/kg) 등으로 나눠 실험을 진행했다.이후 연구팀은 산화 스트레스와 관련된 신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