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임주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해부학교실 교수가 박현미, 김대현, 이화민 고대의대 교수와 함께 최근 클림트의 ‘The Kiss(키스)’에 그려진 적혈구의 의학예술적 분석 연구결과를 발표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클림트가 살았던 19세기 초의 의과학적 문헌을 분석하고, 클림트가 ‘키스’에 적혈구를 그린 이유를 추론했다.작품을 자세히 살펴보면 여자의 가슴과 무릎 부분에 빨간 원반 모양이 모여 있는 것이 보이는데, 이는 의사의 눈으로 보면 적혈구를 연상하게 된다. 빨간 원반들은 ‘키스’에서 적혈구가 가진 생물학적 의미와 붉은색을 통해 전달되는 심리학적 색감을 절묘하게 조합해 그림 전체에 생명을 불어넣고 있다. 이에 캔버스 안 두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해부학교실 유임주 교수(BK21 의과학연구단 단장) 연구팀이 세계적 권위의 의학저널인 Journal of American Medical Association(JAMA, 미국의학협회저널)에 연구성과를 발표했다.본 연구 성과는 20세기 걸작 중 하나로 꼽히며 한국인이 가장 사랑하는 그림 중 하나인 구스타프 클림트(1862~1918)의 '키스'를 의학자의 관점에서 새롭게 분석했고, 의학과 예술을 넘나드는 '통섭' 연구의 성과로 의학계뿐 아니라 예술계와 대중의 이목도 집중되고 있다. 연구팀은 '키스'에 그려진 문양과 상징들을 의학 문헌들과 비교 분석한 결과, 당대에 인류가 꾸준한 연구를 통해 알게 된 인간 발생의 신비를 예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