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장과 수면은 서로 밀접한 영향을 미치는 관계다. 수면 중 코골이와 폐색성 수면무호흡증이 지속적으로 나타날 경우 심혈관계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나아가 고혈압, 심장질환, 뇌졸중과 같은 합병증을 유발할 가능성이 높다.수면무호흡증이 심혈관계 질환에 미치는 영향은 다양하다. 수면무호흡증에 의해 호흡이 단절되면 체내 산소 농도가 급격히 떨어지고 스트레스 호르몬 분비량이 증가한다. 이로 인해 혈압과 심박수가 급등한다. 이로써 심장 및 혈관에 지속적인 부담을 줘 고혈압, 관상동맥질환, 심부전 등 심각한 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다.아울러 수면 중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저산소증은 혈관 내피세포를 손상시키고
소아의 코골이는 매우 흔하게 발견되며, 대부분의 코골이는 편도와 아데노이드의 비대와 관련돼 있다. 편도와 아데노이드가 비대하면 코를 통한 호흡이 힘들어져 많은 경우 입을 통해 호흡하게 된다. 구강호흡은 후두 점막표면의 탈수현상을 유발하여 성대를 붓게 만들고 목소리를 낼 때 피로감을 가중시켜 음성장애까지 이어질 수 있다.이러한 코골이 치료는 비대해진 편도와 아데노이드를 절제하는 수술을 통해 가능하지만, 수술 후 구인두의 구조 변화가 목소리에 미칠 영향에 대한 우려가 있었다. 그동안 여러 논문을 통해 편도․아데노이드 절제술이 음성에 큰 이상을 주지 않는다는 결과가 있었는데, 음성장애가 있던 아동이 수술 후 별다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