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덥고 습한 요즘과 같은 날씨에는 온열 질환에 주의해야 한다. 더운 환경에 노출되면 우리 몸은 안정적인 생명과 건강을 위해서 그 상태를 일정하게 유지하려는 항상성 덕분에 땀을 흘리고 수분 보충을 원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자율신경이 원활하게 작용해야 한다. 하지만 자율신경의 대처능력이 떨어져 있는 경우 체온 조절이 잘 되지 않아 온열 손상에 더욱 취약해질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고령층의 연령대나 기저질환이 있는 경우 대체적으로 자율신경 대처 능력이 저하돼 있다. 이에 여름철 온열 질환을 입을 가능성도 높아지며, 만성질환 관리 또한 어려워진다. 특히 최근에는 더운 날씨로 인해 실내 냉방기 사용을 항상 하기 때문에
바쁘게 사는 현대인들은 항상 긴장 속에서 스트레스를 받고 있다. 그러다보니 적절한 휴식을 취하지 못해 여러 가지 증상들에 시달리게 되고, 나아가 심각한 질환을 겪게 되는 일이 잦다. 그러나 정작 병원에서 검사를 하면 특별한 문제가 없다는 이야기를 듣는 것이 일쑤다. 그렇다고 저절로 나아질 때까지 기다릴 수도 없는 노릇이다. 심리적, 정신적 스트레스가 점차 심화되면서 기존 신경정신과적 질환이 악화하거나 새롭게 발생할 수도 있다. 그 중 하나가 불안장애, 공황장애, 자율신경실조증이다.살다 보면 누구나 걱정과 근심, 불안에 휩싸일 때가 있다. 스트레스 요인과 상황에 따라 회복 속도는 다를 수 있겠으나, 건강한 상태라면, 시...
사람들이 붐비는 출퇴근길 대중교통에서나, 또는 과도하게 긴장되는 상황에서 어지럼증이나 두통, 울렁거림 등으로 갑자기 의식을 잃거나 쓰러진 경험이 있다면 미주신경성 실신을 의심해 볼 수 있다. 미주신경성 실신으로 병원 진료를 받은 사람은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통계를 보면 2022년 한 해 2만2918명이었다. 하지만 이 병에 대한 이해가 부족해서 점검이나 진단을 받지 않은 숨은 환자가 더 많을 것으로 추측된다.미주신경성 실신의 원인이 궁금하다면 먼저 자율신경계를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 자율신경계는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이 균형을 이루면서 우리 몸의 항상성을 유지하기 위해 자율적으로 상호작용을 한다. 교감신경은 위급한 ...
인터넷을 통해 누구나 쉽게 의학 정보에 접근할 수 있게 되면서, 웹상에서 자가 보고식의 불안장애 테스트를 찾아서 해본 후, 보다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위해 병원을 찾는 이들이 많아지고 있다. 불안장애 극복과 더 나아가 완치를 위해서는 먼저 ‘불안’이라는 정서에 대해 충분한 이해가 필요하다.사람의 마음에는 ‘아직’ 일어나지 않은 일, 혹은 과거나 현재 발생한 일로 인해 장차 일어날 ‘가능성’이 있는 사건과 관련된 생각들이 때때로 떠오르곤 한다. 심지어 이러한 생각에 빠져들다가 나도 모르게 걱정과 근심이 머릿속에 가득 차 어찌할 수 없는 상태에 이르기도 한다. ‘걱정과 근심’의 상태가 지나쳐 스스로 통제하기 어려운 상...
최근 들어 날씨가 쌀쌀해지고 건조한 바람이 불어와 전에 없던 증상을 경험하는 이들을 종종 발견할 수 있다. 눈이 건조해지고, 입이 자주 마르는 등 신체 건조증을 호소하는 것이다. 신체에 수분을 충분히 공급해 주며 노력을 하지만 제대로 개선이 되지 않는다면 이는 단순히 계절적인 문제가 아닐 수 있다.원인을 알 수 없는 안구건조증이나 구강건조증의 원인은 바로 자율신경이 불균형을 이루는 ‘자율신경 실조증’일 가능성이 있다. 우리의 인체를 구성하는 자율신경은 모든 장기에 분포가 되어 있는데,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으로 구분된다. 이것의 균형이 무너지게 되면 인체의 기능도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자율신경계는 외...
스트레스는 만병의 근원으로, 잘 관리해야 건강을 챙길 수 있다. 최근 장기간 지속되는 스트레스 요인이 하나 늘었다. 전 세계를 덮친 코로나19인데 언제, 누구에게 코로나19가 감염될지 모르는 감염재난에 따른 심리적, 정신적 스트레스가 점차 심화되고 있다. 감염재난 스트레스가 가중되면서 기존 신경정신과적 질환이 악화하거나 새롭게 발생할 수도 있다. 그 중 하나가 스트레스성 공황장애와 자율신경실조증이다.스트레스성 공황장애와 자율신경실조증은 기본적으로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으로 이루어진 자율신경계 이상이라는 공통점이 있다. 교감신경은 긴장, 흥분 같이 텐션이 올라가는 쪽으로 작용한다. 심장박동이 강해지면서 빨리지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