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대비뇨기병원은 로봇 부신 절제술 200례를 달성했다고 23일 밝혔다. 이를 기념해 병원은 지난 15일 수술실에서 기념식을 열었다.이대비뇨기병원은 로봇을 활용한 부신 부분절제술을 주로 시행하고 있으며, 전체 수술의 약 75%가 해당 방식으로 진행됐다. 로봇 수술은 병변을 최대 15배까지 확대해볼 수 있고, 정밀한 조작이 가능해 정상 조직을 최대한 보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2022년 27례로 시작한 수술 건수는 2023년 47례, 2024년 85례로 증가하며 누적 200례를 넘어섰다. 대부분의 수술은 무수혈로 진행됐으며, 수술 시간은 기존 복강경 수술 대비 절반 이상 단축됐다. 환자 회복 속도도 빨라졌다.김완석 이대비뇨기병원 비뇨의학과 교
이대비뇨기병원(병원장 이동현)이 로봇수술 1,000례 달성을 축하하기 위해 20일 병원 2층 로비에서 기념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전립선 절제술을 포함한 로봇수술 1,000례 기록은 이대비뇨기병원 개원 2년 5개월 만에 이룩한 성과로 최신 의료기기를 통한 고난이도 수술에 강점이 있다는 것을 증명했다는 병원측의 설명이다. 2022년 2월 이대목동병원 MCC A관(별관) 1~3층에 문을 연 이대비뇨기병원은 개원 첫 해 전체 로봇수술 291건(로봇 보조 근치적 전립선 절제술 215건)을 시행했고 2023년 50% 증가한 438건을 기록했다. 특히 이 기간 로봇 보조 근치적 전립선 절제술도 47%로 증가해 2023년 317건의 수술이 진행됐으며 2024년 8월 초까지
이대비뇨기병원(병원장 이동현)이 전립선비대증 치료 극대화를 위해 로봇치료기기인 아쿠아블레이션(Aquablation) 도입 후 첫 수술을 성공적으로 마쳤다고 전했다.지난 5월 23일 이대비뇨기병원에 도입된 아쿠아블레이션은 전립선 비대조직에 고속으로 분사되는 물(워터젯)을 이용해 제거하는 수술 시스템으로 전립선초음파와 내시경을 동시에 보면서 인공지능을 활용해 자동화 수술이 가능하다.주변 조직에 영향을 덜 주면서 크기가 큰 전립선도 제거가 가능해 기존 수술보다 합병증이 적고, 성기능 보존 가능성도 높다. 또한 열을 사용하지 않고 조직을 절제하기 때문에 열로 인한 주변조직의 괴사 등 영향을 최소화하며 통증도 적다는 병원측의...
이대비뇨기병원이 2월 14일 정식진료를 시작했다고 밝혔다. 서울 양천구 이대목동병원 MCC(Mokdong Hospital Caring Complex) A관에 자리한 이대비뇨기병원은 3층, 80개 병상 규모다.이대목동병원은 2015년 방광암·인공방광센터를 설립, 현재까지 1천 례 넘는 '인공방광 수술'을 성공했다. 또 방광암·인공방광센터의 성공에 힘입어 이대목동병원 비뇨의학과는 이미 국내 상급종합병원 중 입원환자 수로 3위 안에 들 정도로 특화돼 있다는 병원측의 설명이다.이대비뇨기병원은 기존 방광암·인공방광센터 뿐 아니라 전립선암센터, 신장암·부신종양센터 등 센터를 신설하고, 성기능·갱년기클리닉, 소아청소년클리닉, 전립선비대증·배뇨...
오는 2월 개원을 앞둔 이대비뇨기병원이 진료 역량 강화를 위해 임상과 연구에서 탁월한 성과를 내고 있는 차세대 여성 비뇨의학과 전문의인 신정현 교수를 전격 영입했다고 밝혔다.병원에 따르면 1월 이대비뇨기병원에 합류한 신정현 교수(33)는 비뇨의학계에서는 임상과 연구 양 분야에서 탁월한 성과를 내는 ‘슈퍼 루키’로 꼽힌다. 울산대학교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동 대학에서 석, 박사 과정을 마친 신 교수는 2013년부터 서울아산병원에서 근무했다.전문 진료 분야는 배뇨 장애와 내비뇨(요로결석)다. 배뇨장애는 소변을 보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모든 문제를 포함하는 광범위한 질환군으로 요실금, 과민성방광, 전립선 비대증, 신경인성 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