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에게 치아의 대표적 기능은 음식을 씹는 기능이지만, 그 외에도 발음을 하는데 있어 부가적인 기능을 담당하고 있고, 앞니의 경우 외모에도 일정 부분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따라서 치아의 형태나 건강을 유지하는 것은 기능뿐만 아니라 심미적인 면에서도 중요하다.얼음이나 사탕, 오돌뼈와 같은 딱딱한 음식을 자주 저작하는 경우 치아에 지속적인 충격을 주어 미세한 균열이나 파절을 일으킬 수 있다. 최근 유행하는 탕후루와 같이 딱딱하고 끈적이는 음식은 파절과 더불어 충치유발을 가속화할 수 있다.만약 치아가 손상됐거나 외상으로 치아 일부가 깨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했다면, 치과에서 적합한 치료를 받아야 한다. 충치는 초기...
의치 사용이 어려운 치과적 중증 장애인 환자들에게 새로운 치료 방법이 제시돼, 저작 기능 회복 등 환자 편의성을 더하고 경제적 부담을 덜 전망이다.서울대치과병원 중앙장애인구강진료센터 유수연 교수는 골질과 골량이 적합한 위치에 부분적으로 임플란트를 심고, 임플란트 고정성 써베이드 크라운을 제작한 후 이를 국소의치와 연결하는 치료법(Implant crown removable partial denture, 이하 ‘IC-RPD’)을 제시했다.통상 장애인은 근육의 감각 또는 기능의 문제에서부터 앓고 있는 전신질환과 복용 약물로 인한 2차적인 원인으로 비장애인보다 충치, 치주염 같은 구강질환에 노출될 가능성이 더 높다고 알려져 있다. 실제로 여러 연구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