셀트리온(068270)은 3일 바이오미와 마이크로바이옴 신약 공동 개발을 위한 지분투자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계약은 바이오미가 보유한 다제내성균감염증 치료 신약 후보 ‘BM111’의 개발을 가속화하기 위한 전략적 투자로 이뤄졌다.셀트리온의 투자는 바이오미의 시리즈 A(Series A) 단계에서 이뤄져, 향후 BM111 개발 결과에 따라 신약에 대한 권리와 수익을 배분할 예정이다. BM111은 4종류의 미생물을 조합한 생균 치료제(Live Biotherapeutic Products)로, 항생제 내성이 강한 세균 집단을 제거하는 ‘탈집락화’ 효과를 통해 감염증 치료를 목표로 한다.다제내성균감염증은 효과적인 치료제가 부족하고, 장기 입원과 2차 질환 위
한국바이오협회는 내달 12일 배양육 등 바이오 미래식품 산업 지원을 위한 '바이오 미래식품산업 협의회' 창립총회 및 발족식을 개최한다고 26일 밝혔다. 행사는 한국바이오협회와 RX코리아가 주최하는 국제 바이오 컨벤션인 ‘바이오플러스-인터펙스 코리아 2024’와 연계해 개최된다.바이오 미래식품산업 협의회는 배양육을 포함 바이오 미래식품을 개발하는 스타트업들과 식품 대기업과 배양배지·세포주·성장인자 개발기업을 포함해 제조공정을 개발하는 기업 등 미래식품산업 생태계를 구성하는 다양한 주체들이 참여해 산업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활동을 목적으로 한국바이오협회 산하로 운영될 예정이다.창립총회에서는 협의회 운...
엔젠바이오(대표이사 최대출)는 미국 사업을 진두 지휘할 지주회사인 ‘NGeneBio USA Holdings’를 설립했다고 15일 발표했다.NGeneBio USA Holdings는 지난 7월 설립된 AI기반 정밀진단 SW자회사 NGeneBioAI와 인수를 진행 중인 미국 CLIA랩을 진두 지휘하여 미래 성장기반 확보에 주력할 방침이다.엔젠바이오에 따르면, NGeneBio USA Holdings는 ▲미국내 성장을 위한 신규투자 및 진단사업 전략 총괄 ▲NGeneBioAI 및 미국내 CLIA랩 등 자회사 관리 및 운영 지원 ▲FDA 인허가 및 캔서문샷 프로젝트 진행을 담당할 예정이다.현재 엔젠바이오는 NGS 기술을 가진 CLIA랩을 우선대상으로 선정하여 실사 및 협의를 진행중이다. 이를 위해 인허가 및...
딥바이오(대표 김선우)는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추진하고 있는 암 정복 프로젝트 ‘캔서 문샷’(Cancer Moonshot)를 촉진하기 위한 공공-민간 협력 파트너십 캔서 엑스(CancerX)에 참여한다고 14일 밝혔다.캔서엑스(CancerX)는 ‘암 연구, 진단 및 치료의 발전을 가속화할 혁신적인 솔루션을 개척’을 지향하며 관련된 조직과 전문가로 구성된 협력체로 암 정복을 위한 첨단 기술을 개발하고 혁신을 주도하는 기업과 전문가를 매칭하는 파트너십 프로그램으로 잘 알려져 있다.김선우 딥바이오 대표는 “캔서엑스(CancerX) 프로그램 참여는 암 환자와 의료전문가의 치료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자사의 헌신과 노력을 반증한다”며 “자사는 인공지...
시지바이오(대표이사 유현승)가 지난 19일부터 21일까지 콜롬비아 메데인(Medellin)에서 개최된 ‘AMWC(Anti-Aging Medicine World Congress) Latin America 2023’에 참가해 콜롬비아와 베네수엘라에 자사의 콜라겐 재생 필러 ‘페이스템(FACETEM)’과 히알루론산(HA) 필러 ‘에일린(Aileene)’을 3년 간 100억 규모로 공급하는 계약을 체결했다고 26일 밝혔다.AMWC는 성형외과 및 미용 클리닉 분야 학술 대회다. 이번 콜롬비아에서 열린 학회에서는 남미 지역 의료진 및 업계 종사자 1,000여 명을 대상으로 강의와 워크숍이 진행됐으며 70여 개 이상의 주요 기업들이 전시에 참가해 안티에이징 관련 최신 기술과 제품을 소개했다.행사에서 시지...
쎌바이오텍과 바이오미가 손을 잡았다. 쎌바이오텍은 바이오미와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미생물 치료제 개발 및 상업화’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맺었다고 30일 밝혔다.지난 29일 연세대학교 신촌캠퍼스에서 진행된 MOU 체결식에는 쎌바이오텍 정명준 대표, 김광용이사와 바이오미 윤상선 대표 등이 참석했다.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양사는 ▲임상시험용 의약품 제조 및 품질관리 시험 ▲미생물 치료제 소재 공유 ▲IND 승인을 위한 경험 공유 등 마이크로바이옴 신약개발을 위해 다양한 형태의 협력을 추진하기로 합의했다.바이오미는 복합균주 기술력을 바탕으로 항생제 내성 세균 감염 치료제 ‘BM111’와 심혈관 질환 치료제 ‘BM109’ 등 5...
국민바이오㈜(대표이사 성문희)가 지난 7일 ㈜바이오미(대표이사 윤상선)와 연세대학교 에비슨의생명연구센터에서 바이오헬스 마이크로바이옴 식의약소재 임상연구를 위한 공동연구 개발과 마이크로바이옴 글로벌 진출을 위한 인허가 및 인체적용시험 등의 임상연구 수행에 관한 업무협약(MOU)을 맺었다고 밝혔다.이날 협약을 통해 양사는 보다 효과적이고 안전한 바이오헬스 마이크로바이옴 식의약 소재에 대한 상호 효력 입증과 임상연구 추진 및 바이오헬스 소재의 제형화 및 제품화를 통한 바이오헬스 마이크로바이옴 사업화를 효율적으로 추진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할 전망이다.두 기업은 이번 전략적 제휴를 통해 바이오헬스 마이크로바이...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이 글로벌 기술패권 경쟁 속에서 혁신의 원동력이 될 바이오 미래유망기술을 발표하였다.생명연 국가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는 플랫폼 바이오 (기초‧기반), 레드바이오(보건의료), 그린바이오(바이오농업), 화이트바이오(바이오화학/환경) 분야에서 10개의 바이오 미래유망기술을 발굴하고 바이오 정보 포털사이트 ʻ바이오인(bioin)ʼ에 공개한다고 밝혔다.올해도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데이터분석본부와 협력하여 머신러닝을 통해 이슈 키워드를 분석하는 위크시그널(Weak Signal) 기법으로 객관성과 정확성을 확보하였다.10대 미래유망기술에는 ▲세포 역노화(플랫폼 바이오), ▲임상 적용 가능 유전자편집기술(레드...
이오플로우는 지난 16일 일산 킨텍스 그랜드볼룸에서 열린 ‘2022 바이오미래포럼’에서 바이오 발전에 기여한 공로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표창을 받았다고 19일 밝혔다.‘2022 바이오미래포럼’은 올해로 9회째를 맞는 행사로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최, 유관 기관인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한국연구재단, 국가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가 공동으로 주관하는 행사다. ‘대전환시대의 디지털바이오’라는 주제로 열린 이번 포럼 시작에 앞서 바이오 및 생명연구자원 발전을 위해 적극 기여한 유공자 포상을 진행해 바이오 분야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발전을 도모했다.과학기술정보통신부 이창윤 연구개발정책 실장은 유공자 포상에 앞선 개회사를 ...
압타바이오(대표이사 이수진)가 코로나19 치료제 ‘아이수지낙시브(Isuzinaxib, APX-115)’가 미국 FDA 임상 2상에서 안정성이 확보됨에 따라 고용량 투약에 대한 논의를 시작한다고 밝혔다.회사에 따르면 ‘아이수지낙시브(APX-115)’는 국내 바이오벤처 신약 중 FDA에서 승인을 받고 유일하게 미국에서 임상 2상을 진행 중인 물질이다. 지난 10월부터 미국 내 9개 병원에서 경증에서 중등도 코로나19 입원환자 80명을 대상으로 투약을 시작했으며 개인별 투약 기간은 1일 1회씩 14일 동안 이뤄진다.‘아이수지낙시브(APX-115)’는 진단 후 14일 이내 환자까지 포함해 넓은 범위로 시험을 진행한다. 이를 통해 변이바이러스 외 염증성 증상 및 폐...
에이비엘바이오(대표 이상훈)는 미국 애틀랜타에서 이번 달 11일부터 14일(현지시간)까지 열리는 미국 혈액암학회(American Society of Hematology, ASH)에서 신약 후보물질 ABL602에 대한 전임상 연구결과를 발표했다고 밝혔다.1958년 설립되어 매년 12월 개최되는 미국 혈액암학회는 전 세계 3만여명 이상이 참석하는 세계적 혈액암 분야 학회이며, 올해는 오프라인과 온라인 두 가지 방식을 병행하여 개최되었다.에이비엘바이오는 이번 학회에서 급성골수성백혈병(Acute Myeloid Leukemia, AML) 치료제로 개발 중인 CLL-1과 CD3를 동시에 표적하는 면역항암 이중항체인 ABL602의 전 임상 데이터를 포스터로 발표했다.발표에 따르면, 체외실험(...
㈜딥바이오(대표 김선우, 이하 딥바이오)가 미국 유타대학교의 임상시험심사위원회(Institutional Review Board, IRB) 승인을 받고 실제 임상 환경에서 자사의 인공지능 전립선암 진단 보조 솔루션 DeepDx® Prostate의 성능을 평가하는 전향적 임상연구를 진행한다고 밝혔다.미국 10대 연구소 ARUP(ARUP Laboratories Inc.)와 함께 진행하는 연구에서 3명의 병리학자는 임상 현장에서 기존 병리 진단 방법인 현미경 관찰을 통해 진단을 내리고, 일정 기간 후 기존 진단 방법과 전립선암 진단 보조 AI 솔루션 DeepDx® Prostate를 함께 활용해 같은 사례에 대한 분석을 다시 한번 진행한다. 이후 두 결과를 참조표준과 비교해 암 유무 확인, 악성...
㈜레고켐 바이오사이언스(이하 ‘레고켐바이오’)는 7월 12일, 미국 뉴저지에 위치한 나스닥 상장사 셀렉타 바이오사이언스 (Cellectar Biosciences, 이하 ‘셀렉타’)와 PDC분야 공동연구 및 기술이전 옵션계약 (Collaboration & Option license Agreement)을 체결하였다고 밝혔다.셀렉타는 고유 PLE (인지질 에테르, Phospholipid Ether) 약물전달 플랫폼기술을 활용한 PDC (Phospholipid Drug Conjugates, 인지질-약물 결합체) 항암제를 연구개발하고 있으며, 이미 혈액암 및 고형암을 포함한 다양한 암종에 대해 임상단계 파이프라인을 보유한 바이오기업이다. 한편, 암세포의 빠른 성장에 필수 요소인 PLE는 항체 대비 향상된 암세포 특이적...
에이비엘바이오는 올해 미국암학회(American Association for Research, AACR)에서 두 건의 전임상 연구결과를 발표했다고 12일 밝혔다. 올해 AACR은 4월 10일(현지시간)부터 15일까지 온라인으로 개최되며 학회 홈페이지를 통해 포스터를 확인할 수 있다.에이비엘바이오는 이번 발표를 통해 이중항체 면역항암 플랫폼 ‘Grabody-T’의 작용기전을 규명하는 데이터를 소개했다.발표에 따르면, Grabody-T는 기존 이중항체 형태와 달리 CRD4라는 부위에 차별적으로 결합함으로써 4-1BB의 종양 특이적 활성화를 최대치로 끌어올렸다. ‘Grabody-T’를 적용한 이중항체는 이러한 측면에서 BMS의 우렐루맙(Urelumab)과 화이자(Pfizer)의 유토밀루맙(Ut...
에이비엘바이오(대표 이상훈)는 4월 10일부터 15일까지 온라인으로 개최되는 미국암연구학회(American Association for Cancer Research, AACR)에서 이중항체 면역항암 플랫폼 ‘Grabody-T’와 이중항체 면역항암제 ABL501에 대한 포스터 발표를 진행한다고 밝혔다.해당 발표 초록은 10일(미국 동부시간)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공개됐으며, 온라인 포스터는 4월 10일부터 확인할 수 있다.AACR은 암 분야 전문가 및 글로벌 제약사들이 모여 혁신 치료 기술과 R&D 성과들을 공유하는 세계에서 가장 권위있는 암학회다. 작년 행사에는 127개 국가에서 약 73,000명이 참가했다.이번 AACR 초록에 실린 ‘Grabody-T’는 종양 항원과 면역세포를 동시에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국가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가 ‘2021년 바이오 미래유망기술’을 발굴하고 그 결과를 발표했다고 23일 밝혔다.이번 연구는 포스트 팬데믹 관련 기술을 기초·생명과학/공통기반(Platform Bio), 보건의료(Red Bio), 농림수축산·식품(Green Bio), 산업공정/환경·해양(White Bio) 분야로 구분해 ‘Platform, Red, Green, White Bio로 살펴본 10대 미래유망기술’을 소개하였다.연구원은 “과거 15년 이상 소요되던 백신 개발 기간이 코로나19를 겪으며 10∼18개월로 단축되면서 백신 개발에 관한 역사를 다시 쓰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며 “이번에 보여준 백신 개발의 속도는 그간 인류가 발견하고, 개발해 온 생명과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