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은 몇 살까지 암 건강검진을 해야 할까? 암종에 따라 다르지만 위암은 74세까지, 대장암은 80세까지, 유방암과 자궁경부암은 각각 69세, 74세까지 받는 것이 적절하다는 가이드라인이 발표됐다. 그 이상의 연령에서는 암 검진의 이점과 위해가 뚜렷하지 않았다.지난 2일 세종대학교 광개토관에서 개최된 대한임상노인의학회에서는 국제성모병원 건강증진센터장 황희진 교수가 ‘노인을 위한 건강검진: 어떤 검진을 몇 세까지 해야 할까?’를 주제로 이 같은 내용을 강의했다.환진희 교수는 “ 암은 우리나라 사망원인 1위이며,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암 발생인구의 약 1/3의 경우 암을 조기 발견하고 치료할 경우 완치가능하고, 조기 검...
암 환자의 절반 이상은 노인이다. 노인 암환자에게 인지기능 장애는 흔하고, 병이 진행할수록 인지기능은 점차 저하될 수 있다. 인지기능이 저하된 노인 암환자의 치료에 대한 중요한 의사결정은 누구의 몫일까. 환자 본인일까 아니면 가족일까.국립암센터 국제암대학원대학교(총장 이은숙) 박기호 교수, 충북대학교 박종혁 교수, 삼성서울병원 신동욱 교수 연구팀은 2014년 전국의 노인 암환자와 가족 보호자 358쌍을 대상으로 노인 암환자의 인지기능 저하와 의사결정에 있어서 가족의 역할에 대해 조사했다.연구 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 대다수 노인 암환자와 가족 보호자는 환자의 인지기능이 나빠질수록 가족들이 주로 의사결정을 내려야 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