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은 만물이 소생하는 계절로, 많은 사람들이 야외활동을 본격적으로 시작하게 된다. 하지만 이 시기를 반가워하지 않는 이들이 있는데, 바로 ‘결절성양진’을 겪고 있는 환자들이다. 해당 계절에는 꽃가루와 미세먼지가 증가하고 쉽게 건조해져 피부에 과도한 자극을 받아 결절성양진 증상이 쉽게 악화될 수 있기 때문이다.아토피, 습진, 건선과 함께 만성 피부염에 포함되는 ‘결절성 양진’의 다른 명칭은 ‘결절성 가려움 발진’이다. 발병 시 심한 가려움과 벌레에 물린 듯한 붉은 결절과 형성된 결절들 사이의 피부에 심한 소양감을 느끼게 된다. 가려움증은 점차 심해져 참기 힘들어지는데, 많은 환자들이 환부를 긁게 된다. 하지만 이러
사노피는 듀피젠트 프리필드 (Dupixent, 성분명: 두필루맙, 유전자재조합)가 지난 13일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만 18세 이상 성인에서 국소치료제로 적절히 조절되지 않거나 이들 치료제가 권장되지 않는 중등도에서 중증 결절성 가려움 발진(양진, 이하 결절성 양진) 치료제로 적응증 확대 승인을 받았다고 14일 밝혔다.결절성 양진은 기저의 제2형 염증과 연계되어 피부, 면역계, 신경계 등과 상호 관련성을 갖는 만성 쇠약성 염증 질환으로 주된 특징인 극심한 가려움증은, 신경, 면역학적 상호작용에 의해 지속적으로 악화될 수 있다.모든 연령대에서 나타날 수 있지만 특히 50~60대 고령층에서 발병율이 높다. 환자의 80% 이상은 6개월 이상...
)사노피의 국내 제약사업부문인 사노피-아벤티스 코리아(대표 배경은, 이하 사노피)는 제2형 염증성 질환인 성인 결절성 양진(prurigo nodularis) 및 만 12세 이상 청소년·성인 호산구성 식도염(eosinophilic esophagitis) 환자를 대상으로 한 각각의 3상 임상연구에서 긍정적인 결과를 도출했다고 발표했다.성인 결절성 양진 환자 대상 PRIME2 3상 임상연구PRIME2 연구는 국소 치료제로 적절히 조절되지 않거나 권장되지 않는 성인 결절성 양진 환자 160명을 대상으로 두필루맙의 효과와 안전성을 평가한 이중맹검, 위약-대조 3상 임상연구이다. 환자들은 2주에 한 번씩 두필루맙을 단독으로 또는 국소 치료제와 병용 투여하였다고 회사측은 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