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는 크게 1형 및 2형 당뇨로 나뉘는 데, 국내의 경우 1형 및 임신성 당뇨 등을 제외한 대다수의 환자가 2형 당뇨를 앓고 있다. 2020년 기준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에 따르면 국내 2형 당뇨 환자는 최근 5년간 약 27.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2030 젊은 층의 당뇨병 유병률 역시 꾸준하게 상승하고 있어 질환 예방 및 관리에 많은 주의가 요구된다.
당뇨병은 심장과 혈관을 포함한 주요 장기에 영향을 미치고, 당뇨 위험 요소는 다른 만성질환을 유발하는 위험 요소이기도 하기 때문에 더욱 관리에 신경 써야 한다. 당뇨병은 진단된 후에 지속적으로 식단 관리가 필요한 질병이며, 심혈관질환, 케톤산증, 고혈압, 뇌졸중 등의 합병증에 걸릴 위험이 높은 만성질환이다.
그 중 특히, 2형 당뇨 환자는 심근경색, 뇌졸중, 말초혈관질환 등의 ‘심혈관질환’ 합병증에 걸릴 위험이 약 2배가량 높으며, 당뇨병 환자의 약 7%가 뇌혈관질환을 앓고 있기도 하다. 게다가 미국당뇨협회(ADA,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에 따르면 2형 당뇨 환자의 2/3가 심혈관질환으로 사망하고 있는 만큼 당뇨 환자라면 심뇌혈관질환 관리에 각별히 신경 써야 한다.
당뇨와 심혈관질환은 공통적으로 자극적이지 않은 식단과 규칙적인 운동 등 일상에서 꾸준히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당뇨를 앓고 있다면 싱겁게 먹는 습관과 금주는 물론, 매일 일정한 시간에 적당한 양의 음식을 규칙적으로 먹는 것이 중요하다. 또, 소화흡수가 빨라 혈당상승을 촉진시키는 설탕이나 꿀 등 단순당의 섭취를 주의해야 하며 식이섬유소의 적절한 섭취로 혈당과 혈종지방의 농도를 낮춰야 한다. 마지막으로, 지방의 경우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을 증가시키는 동물성 지방 및 콜레스테롤은 가급적 섭취를 줄이고 식물성 기름으로 적정량 섭취하는 것이 중요하다.
가톨릭대학교 성빈센트병원 순환기내과 허성호 교수는 “본인이 전문의와 상담 후 심혈관질환 위험이 매우 높은 당뇨 환자라고 판단되면, 전문의와 상담을 통해 저용량 아스피린 복용을 고려해 볼 수 있다. 유럽심장학회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명확한 금기 사항이 없을 때, 심혈관질환 ‘위험이 매우 높은’ 혹은 ‘위험이 높은’ 단계로 분류되는 당뇨병 환자에게 1차 예방용 저용량 아스피린(하루 75~100mg)을 고려할 수 있다.”고 조언했다.
만약, 심혈관질환 재발 방지를 위해 평소 저용량 아스피린을 복용하는 사람이라면 의사의 처방 없이 복용을 중단하지 않고 꾸준히 복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허성호 교수는 “한 연구에서 저용량 아스피린 복용이 위약 대비 심혈관질환 환자에서 혈관질환에 의한 사망, 심근경색, 뇌졸중 발생 위험을 19% 감소시키고, 비치명적 심근경색의 발생 위험 감소 효과는 31%로 더 크게 나타난 바 있다”며 “심혈관질환 재발 방지를 위해 저용량 아스피린을 처방받아 복용 중에 임의로 중단하거나 용량을 조정하는 경우 지속적으로 복용하는 사람보다 심장발작 또는 뇌졸중을 겪을 확률이 37%나 높은 ‘리바운드’ 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하수지 기자
press@healthinnews.co.kr